✓ 환경부 형식승인 모델
• 환경부 형식승인 항목 (O2, CO, NOx, SO2)
✓ 효율적인 가스전처리 시스템 내장
• 고성능 전자식 쿨러가 내장되어 있어 고온 현장에서도 오차 없이 측정 가능
• 응축수 모니터링 시스템 내장으로, 응축수 배출 시기 알람 기능
✓ 굴뚝 내 유속(m/s), 유량(Nm³/h), 압력(Pa) 측정 가능
✓ 매우 쉬운 교정방법
• 매우 쉬운 교정방법으로 환경측정대행업시 숙련도 평가 유리
✓ 편리한 실시간 Data 관리
• 설정한 시간에 자동으로 프린트, 프린트값의 평균값까지 계산
• 최소 1초 단위 Data log (excel, PDF... 등)
• 내장된 고속 프린터로 현장에서 측정값 즉시 출력 가능
• Mobile 앱으로 Data 관리 및 모니터링 가능, 원격 프린트 가능
• 설정한 시간에 자동으로 프린트, 프린트 값의 평균값까지 계산
✓ 동등 성능 장비 중 압도적인 휴대성
• 핸드타입 분석기 중 유일하게 전자식 쿨러 내장
• 전자식 쿨러, 프린터, 응축수 트랩 포함 1.6kg
• 튼튼한 알루미늄 케이스로 구성된 본체
✓ 저렴한 유지보수 비용
• 외부의 단 1개의 고성능 필터로 저렴해진 유지보수 비용
• 고농도 CO 흡입시 자동 보호 기능
✓ 저농도와 고농도 CO 동시 측정 가능
• CO는 저농도(ppm), 고농도(%) CO 센서 2개로 동시에 측정 가능
✓ 최대 5개 센서 장착 가능
O2, CO, CO2, NO, NO2, NOx, SO2, H2, H2S, CH4, THC, CO2(NDIR), CH4(NDIR), THC(NDIR), 수분함량, 메모리는 1초 단위로 무제한 저장, 전처리 시스템 내장, Windows software, 프린트 내장, 이슬점(dew point), 온도, 압력, 풍속, 풍량, 유량, 유속, Wireless Bluetooth & Wi-Fi 접속 기능, 바이오 가스, Landfill gas 측정분석.
그림 2
제품명 | Portable Emission & Combustion Gas Analyer (Model : MK 4000) |
제 품 기 능 | O2, CO, CO%, CO2, NO, NO2, NOx, SO2, H2, H2S, CH4, THC, CO2(NDIR), CH4(NDIR), THC(NDIR), 압력(Pa), 유속(m/sec), 유량(Nm³/h), 이슬점, 수분함량 동시 측정 |
제 품 사 양 |
1. 측정 항목 및 규격 - O2 : 0 - 25.00 % / 0 - 100.00 %
2. 부속기기 - 가스 샘플링 히팅 프로브 700MM 1개 |
제품 특기사항 | 1초 단위로 연속 측정 Data 저장 처리 기능 내장(On/Off-Line 상태) |
측 정 단 위 | ppm, ppm/N, mg/m³, mg/m³N, mg/kwh, mg/MJ, g/m³, g/kwh |
사양서에 있는 가스 항목별 측정 범위는 최대의 고농도 측정 범위이며, 낮은 저농도, 중간 농도 등 측정 범위는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측정 범위는 저농도는 쉬우나 고농도를 만드는 것이 핵심 기술입니다) 또한, 구매한 후에도 추후 측정 항목을 포함하여 모든 기능을 24시간 내 100% 국내에서 추가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습니다. |
|
Maker: ECOM(독일) www.seic.co.kr info@seic.co.kr |
그림 3
전자 냉각 방식의 Electronic Peltier Cooling System 이란?
MK 4000에 내장된 전자 냉각 방식의 Electronic Peltier Cooling System은 타 메이커에서 Cooling System 이라고 하여 적용된 자연히 온도가 떨어지는 자연공냉식의 Ventilation Cooling System 과는 전혀 다르며, 이는 Cooler System 이라 할 수 없습니다.이런 자연공냉식 Cooler System은 무거운 응축수는 아래로 떨어져 배출되고, 가벼운 가스는 위쪽의 가스 센서로 유입되어 가스를 측정하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연속 측정과 수분 또는 응축수가 많은 곳에는 응축수와 가스를 완전히 분리 또는 배출을 하지 못하므로 Peltier Cooling System 또는 Cooler System이라 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전자 방식의 Cooling System 은 냉장고 원리와 같이 전자 반도체를 이용하여 냉각시킴으로서 장시간 동안 수분과 응축수가 많은 어려운 조건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그림 4
세계최초 최신의 기술로 탄생한 MK 4000은 Field 에서의 문제점을 완벽하게 해결한 최첨단 가스분석기입니다.
다른 Maker 에서는 없는 기능만 구별했습니다.
그림 5
그림 6
그림 7
그림 8
그림 9
그림 10
최소 1초부터 최대 60분까지 원하는 측정 시간 간격(Interval time)을 설정할 수 있고, 측정값의 프린트도 가능하다. 또한, 자동으로 평균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평균값은 프린트도 할 수 있다. 측정시간 30분을 1분 간격으로 측정한다면 1분 간격으로 측정된 값(또는 평균값) 30장과 그 다음 출력되는 31번째 프린트는 30개에 대한 평균값이 자동으로 계산되어 프린트 된다. 따라서 프린트는 31개가 된다.
MK 4000의 본체에 내장된 저장 용량은 프린트된 데이터 전부를 1개로하여, 실시간 최소 1초부터 최대 60분까지 원하는 측정 시간 간격(Interval time)을 설정할 수 있고, 연속으로 측정 값의 프린트 출력 및 최대 2억 5천 6백만개(64GB)까지 자동 저장되며, PC와 연결시에는 무제한 실시간으로 저장됩니다.
그림 11
다운 받으실 분은 이미지를 클릭하십시오
그림 12
그림 13
그림 14
그림 15
예시) 질소산화물(NOx)를 측정한다고 할 때 실제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NOx)=150PPM을 배출하는데
이 중에서 실제로 배출되는 일산화질소(NO)=120PPM이고, 이산화질소(NO2)=30PPM이라고 한다면
1. NO 센서만 있는 장비로 측정할 때 NO = NOx = 120PPM을 나타냄(NO2를 측정하지 못하기 때문에)
2. NO 센서와 NO2 컨버터(CONVERT)만 있는 경우 NO(97%)+NO2(3%) = 120PPM+4PPM = 124PPM
3. NO 센서와 NO2 센서가 전부 있는 경우 NOx = NO+NO2 = 120PPM+30PPM = 150PPM이 되므로 정확하게 측정됨.
실제로 NOx를 정확하게 측정해야 하고 NOx(질소산화물)의 개념을 위해서라도 반드시 NO, NO2가 각각 측정이 되어야 한다.
특히, 굴뚝에서 측정할 때 SO2 또는 NO2 가스 측정이 처음부터 안 되거나, 측정값이 현저히 낮게 측정되고, 처음에는 측정값이 나타났다 갑자기 측정이 되지 않을 때 혹은 가스분석기의 측정 화면에는 SO2 농도가 0ppm으로 나타나지만 가스 샘플링 프로브를 Stack에서 빼면, SO2의 농도 수치가 나타날 때, 이러한 현상의 경우 SO2 농도가 분명히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측정이 되지 않는 것은 가스 상의 수분이나 굴뚝 안의 뜨거운 온도가 가스 샘플링 호스로 흡입되면서 온도 편차에 의해 발생하는 응축수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반드시 Cooling System 기능과 자동으로 응축수를 배출하는 2차 자동 수분 펌프가 내장된 가스분석기를 사용하여야 정확하게 SO2, NO2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Water trap (응축수 트랩)은 이러한 기능과는 전혀 다른 용도로 SO2, NO2를 측정하는데 있어 어떠한 역할도 하지 못합니다. Water trap (응축수 트랩)은 단지 응축수를 잠시 보관해 주는 것으로 응축수 배출을 위해서는 가스 측정을 멈춘 후 직접 Water trap에서 응축수를 버려줘야 다시 가스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10-20분 이상은 연속으로 측정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응축수를 수동으로 비워주지 않을 경우, 응축수가 넘쳐 가스 센서 및 장비의 고장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어떤 장비는 측정 중 멈춰버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수분이 많은 곳에서 측정하거나, 장시간 연속 측정을 원할 경우 Cooling System 기능과 2차 자동 수분 펌프, 자동 200℃ 가열식 샘플링 호스가 있는 분석기를 사용하면 수분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은 전 세계적으로 GreenLine 9000과 MK 9000이 유일합니다.
그림 16
그림 17
그림 18
그림 19
그림 20
그림 21
그림 22
그림 23
그림 24